사케 입문, 기본 지식, 이것만 알자. 인기 사케 소개까지

2025. 3. 20. 00:17호기심엔 끝이없다/박학 잡다식

반응형

안녕하세요 분석하는 디제이입니다.

 

곧 일본 여행을 가는데요. 사케를 사와볼까하고 알아보던 차에 사케에 대해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깊게 공부한건 아니지만 기본적인 내용을 정리해서 공유드립니다.

 


1. 정의

사케는 일본에서는 '술'을 말하는 것으로, 일본에서 사케라고 하면 위스키, 와인, 맥주 등이 모두 포함되는 개념으로,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일본술은 '니혼슈'라고 합니다.

 

니혼슈는 쌀 + 물 + 누룩으로 만드는 양조주인데, 알콜 사용 여부에 따라 '준마이'와 '혼죠조'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준마이 : 쌀만으로 만든 술

혼죠조 : 쌀에 알콜을 첨가하여 만든 술 

준마이를 더 좋은 사케로 분류합니다. 사케 고수가 아니라면 '준마이'를 사봅시다. 

 

 

2. 정미율

정미율 : 쌀의 표층부를 깎은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정미율 70%라는 의미는 쌀의 원래 모양에서 30% 깎아내고 70%만큼 남은 쌀을 써서 만들었다는 뜻입니다.

정미율이 낮을수록 고급 술입니다. 

사케병에 적힌 정미율은 다음 글자에서 알 수 있는데요 

'精米步合(정미보합)' 

쌀을 깎고 남은 정도를 말합니다. 그래서 精米步合 23% 는 77% 깎고 23%가 남은 쌀로 만든 술이라는 뜻입니다. 

 

쌀을 깎은 것이 왜 중요하냐면, 쌀의 구조를 자세히 보면 안쪽 가운데에 전분이 있고,

이 전분을 주변에서 단백질, 지방과 같은 기타 성분이 감싸고 있습니다.

술을 빚는건 쌀알의 전분을 발효시켜 당분으로 만드는 작업인데

전분을 둘러싼 단백질과 기타 성분은 맛과 향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사케를 만들 때 쌀을 깎아서 가운데 전분만 남길수록 맛과 향이 깊은 고급 술이 되는 것이죠.

3. 준마이, 긴죠, 혼조죠.... 이게 뭐야?

앞에 설명한 정미율에 따라 '다이긴조'와 '긴조' 라는 용어가 나뉘는데요. 

다이긴조는 정미율 50% 미만일 때,, 긴조는 60% 미만일 때 사용할 수 있는 용어입니다.

다르게 말하면, 다이긴조는 쌀을 50%이상 깎았을 때, 긴조는 쌀을 40%이상 50%미만으로 깎았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용어입니다.

그래서 니혼슈를 만들 때 알코올 포함 여부에 따라, 정미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용어가 나뉘는데

초심자는 '준마이 다이긴조'가 좋으니 이걸 사먹도록 합시다.

 

 

혼죠조, 알코올이 들어가는 니혼슈에 대해 좀 더 설명하자면, 

다이긴조는 쌀 중량 대비 5% 미만의 알콜이 사용됐을 때, 

긴조는 10% 미만 의 알콜이 사용됐을 때, 

혼죠조는 15% 미만의 알콜이 사용됐을 때, 

팩 사케는 40% 미만의 알콜이 사용됐을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신맛과 단맛

사케에는 신맛과 단맛을 나타내는 용어가 있습니다.

辛口(카라구치) 

드라이한 맛을 나타내는 용어로 -0.6 ~ +2.8의 숫자로 나타냅니다.

 

甘口(아마구치)

달달한 맛을 나타내는 용어로 -15 ~ +15의 숫자로 나타냅니다.

 

 

5. 사케 보관

사케는 보통 제조 후 1년 이내 마시는 걸 추천하고, 보관은 냉장보관 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6. 초심자 인기 사케 추천

사케 어떤거 사면 되는지 잘 모르겠다 하시는 분들은 이거 사서 드시면 됩니다.

 

1. 닷사이 23

준마이 다이긴조로 정미율 23%로 가장 유명한 사케 중 하나입니다.

 

 

 

2. 쿠보타 준마이 다이긴조 

준마이 다이긴조로 정미율 50%입니다.

 

 

 

2. 핫카이산 준마이 다이긴조

정미율 45%인 유명한 사케입니다.

 

 

 

7. 고급 사케 5대장

맛있지만 비싼 고급 사케입니다. 

처음부터 도전하지 마시고, 몇 번 마셔봤고, 비싼 것도 괜찮다고 하시는 분들은 도전해보세요.

 

1. 쥬온다이

 

 

2. 지콘

 

 

3. 아라마사

4. 신슈키레

5. 하나아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