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질적 고용상황(~2019.11월까지)

2020. 1. 16. 21:36투자, 경제, 재테크/지표 추이

반응형

안녕하세요? 분석하는 디제이입니다.

 

지난 번에는 한국의 고용 상황에 대한 양적인 측면을 살펴보았습니다.

 

https://whitem00n.tistory.com/4

 

한국 양적 고용상황(~2019.11월까지)

안녕하세요? 분석하는 디제이입니다. 통계학에 GIGO라는 말이 있습니다. 'Garbage In Garbage Out'. '쓰레기를 넣으면 쓰레기가 나온다.'라는 뜻인데요. 어떤 것에 대해 판단할 때는 주관적 판단을 배제하고 여러..

whitem00n.tistory.com

오늘은 질적인 측면을 한 번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전 글에서 매년 취업자수는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통상 취업자수가 증가했다고 생각하면 정규직 취업자가 늘었다고 생각하게되죠?

 

이것이 맞는지 한 번 확인해보고자 오늘의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항상 제가 궁금한 것에 대해 알아보고 글을 씁니다)

 


먼저 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정의를 알아보겠습니다.

 

1. 정규직(正規職)은 일반해고가 불가능한 전일제(Full-time) 근로직을 의미한다. 정규직의 반대는 비정규직이다.

 

2. 정규직 근로자란 사용자와 직접 근로계약을 체결하여 사업장 내에서 전일제(full-time)로 근무하면서 근로계약기간의 정함이 없이 정년까지 고용이 보장되는 근로자를 말한다. 정규직 근로자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비정규근로자, 비전형근로자, 비정형근로자 등의 표현이 사용된다.

 

각각 위키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가져온 정의입니다. 출처는 밑에 따로 링크 정리해놓겠습니다.

 

두 정의에서 FULL-TIME이란 말이 눈에 띄네요. 

 

FULL-TIME 근로자는 주당 36시간 이상 근무하는 사람을 나타냅니다.

즉, 주당 36시간을 기준으로 그 이상 근무하는 사람을 정규직, 36시간 미만 근무하는 근로자는 비정규직으로 구분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 주당 36시간을 기준으로해서 한국의 질적 고용상황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아래는 1987년 2월부터 36시간 이상/이하 월간 취업자수입니다.

 

36시간 이상 근로자는 쭉 증가하다가 1997년 말부터 약 2년간 감소, 이후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7년 10월을 기점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반면 36시간 이하 근로자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1998년 5월, 기울기가 조금 더 가팔라졌고 이후 유지하다가 

2017년 7월을 기점으로 또 상승 기울기가 가팔라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직관적인 그래프를 봤으니 이번엔 수치를 통해 객관적으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아래의 표는 매년 11월 기준으로 작년 대비 취업자수가 얼마나 변화가 있었는지 나타내는 표입니다.

36시간 미만 취업자수(비정규직)는 매년 증가하다가 2017년부터 좀 더 증가세가 강해지고 있네요.

36시간 이상 취업자수(정규직)는 매년 증가하다가 2017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해서 증가세가 강해진 모습입니다. 

 

결국 두 지표를 통해 현재 한국의 취업자 증가는 60대 이상의 비정규직 일자리로 인한 것이란 것을 유추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