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3. 19. 23:13ㆍ투자, 경제, 재테크/지표 추이
안녕하세요? 분석하는 디제이입니다.
오늘은 미국 실업률 및 실업수당 청구 건수에 대한 지표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먼저 미국 실업률을 살펴보겠습니다.
아래는 1948/01/01 ~ 2020/02/01까지 미국의 실업률 그래프와 2019/06~2020/02년 실업률 수치입니다.
미국의 실업률은 매달 1회 발표하고 있습니다.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미국의 경기 침체 기간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2월까지는 미국에서 코로나의 영향이 크지 않아 실업률도 3.5%로 나타났습니다.
3월 실업률은 4/3일 08:30분에 발표라 이것 만으로는 실업률의 추이를 빠르게 유추하기 힘듭니다.
따라서 매주 발표하는 미국의 실업수당 청구 건수를 통해 실업률을 조금 더 빠르게 경기의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1967/01/07 ~ 2020/03/14 미국의 실업수당 청구 건수를 나타낸 것입니다.
해당 지표는 매주 목요일에 발표하고 있습니다.
회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미국의 경기침체 시기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경기 침체시기에는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급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최근의 지표를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죠
아래는 2019/01/01 ~ 2020/03/14 의 미국 실업수당 청구 건수와 2019/12/01 ~ 2020/03/14의 미국 실업수당 청구 건수를 숫자로 표시하여 좀 더 수치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게 그린 그래프입니다.
3/14일 전 일주일 동안 약 7만 건이 증가했습니다.
맨 첫 그래프에서 경기 침체기간이 아닌 기간에도 중간 중간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지만
경기 침체시기에는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증가하는 것을 볼 때, 해당 지표가 증가하는 것은 좋지 않은 신호를 나타냅니다.
지금은 코로나 19로 인한 금융 경기 침체가 실물 경기 침체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미국의 실업률이 앞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난제가 있는만큼 과연 잘 풀어서 경기 확장 사이클을 조금 더 연장할 수 있을 것인지, 아니면 최악의 상황으로 갈 것인지...
아래 그림은 1997/01~2020/02 까지 S$P 지수와 미국 실업률을 나타낸 것입니다.
현재 2020/03/19일 기준 S&P가 급락하고, 실업률은 아직 증가하지 않은 상황을 유추해보기 위해
지난 경기 침체 상황에서 S&P가 일정 부분 하락하고, 실업률이 증가하기 시작하는 초기 단계를 빨간 선으로 나타내보았습니다.
만약, 최악의 상황이 온다면 실업률로 비추어 볼 때, 주가 하락은 아직도 많이 남은 것 같습니다.
미국 실업률 지표
https://fred.stlouisfed.org/series/UNRATE#0
미국 실업률 지표 및 발표 일정.
https://www.investing.com/economic-calendar/unemployment-rate-300
미국 실업수당 청구 건수
https://fred.stlouisfed.org/series/ICSA#0
미국 실업수당 청구 건수
https://www.investing.com/economic-calendar/initial-jobless-claims-294
미국 실업수당 청구 건수
https://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jobless-claims
'투자, 경제, 재테크 > 지표 추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OECD 경기선행지수(2020.04) (0) | 2020.04.20 |
---|---|
미국 실업수당 청구 건수(2020.03.26) (0) | 2020.03.28 |
국내 코로나 확진자 현황 추이 (0) | 2020.02.25 |
한국 질적 고용상황(~2019.11월까지) (0) | 2020.01.16 |
한국 양적 고용상황(~2019.11월까지) (0) | 2020.01.11 |